국토교통부는 2022년 10월 26일 제7차 청년정책조정위원회에서 ①공공분양50만호 공급 ②나눔형/선택형/일반형 등 3가지 주택선택권 모델제시 ③전용 모기지대출지원 ④시범단지 사전청약을 위한 조기공급계획 ⑤청약제도 개편 등 5가지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1. 공공분양 50만호 공급
국토교통부는 청년원가주택, 역세권 첫집 등 특징을 과거에 비해 좀 더 구체화한 공공분양주택을 50만호 공급방안을 발표했습니다.
50만호 중 청년층에 34만호, 4050(40대와 50대) 등에 16만호를 공급할 계획입니다. 구체적인 공급방안은 아래와 같습니다.

특히, 입지적으로 외곽이 아닌 도심지역의 유휴지역을 적극 활용하겠다는 계획인데요. 다만, 구체적인 지역이 발표되지 않아 땅이 부족한 서울에서 어떤 지역을 활용할 것인지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2. 주거선택권 3가지 모델 제시 (나눔형, 선택형, 일반형)
앞서 제시한 50만호 공급계획 중 수요자에 대해서 3가지 모델을 제시하겠다는 계획입니다. 각자의 소득, 자산 여건, 생애주기 등에 맞게 3가지 모델 (나눔형, 선택형, 일반형)을 선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1) 나눔형 25만호
- 나눔형은 처음부터 분양을 받는 모델로 기존 공공분양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분양가를 시세 대비 70% 이하로 책정하여 부담을 줄이겠다는 계획입니다.
- 또한, 할인된 분양가의 최대 80%를 장기모기지로 지원하여 초기 부담을 최소화할 계획입니다.
(2) 선택형 10만호
- 선택형은 저렴한 임대료로 우선 거주하고, 분양여부를 6년 이후에 선택하는 모델로, 민간의 내집마련 리츠와 유사한 모델입니다.
- 분양시, '입주시 추정 분양가+분양 시 감정가"의 평균가격으로 분양을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 또한, 분양을 미 선택 시 4년 더 임대방식으로 거주할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
(3) 일반형 15만호
- 일반형 모델은 기존 공공분양과 사실상 동일한 것으로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되는 주택이 여기에 해당한다고 합니다.
- 추첨제를 20%까지 적용하여 청년층 당첨 기회를 확대하겠다는 계획입니다.
3. 전용 모기지대출 지원
나눔형, 선택형, 일반형에는 각각 특성에 맞는 모기지 대출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입니다.
① 나눔형: 한도 5억원 / LTV 최대 80% / DSR 미적용 / 금리 1.9~3.0% / 만기 40년
② 선택형: 한도 5억원 / LTV 최대 80% / DSR 미적용 / 금리 1.9~3.0% / 만기 40년
(선택형에는 임대보증금에 대한 80% 전세대출 별도 지원, 전세대출 금리는 1.7~2.6%)
③ 일반형: 한도 4억원 / LTV 최대 70% / DSR 미적용 / 금리 2.15~3.0% / 만기 30년
4. 시범단지 사전청약을 통한 조기 공급
총 50만호의 공급계획 중 내년에는 7.6만호가 인허가 될 계획이라고 밝혔는데요. 이 중 서울 도심(3,300호), 수도권 공공택지(7,300호) 등 약 1.1만호에 대한 입지를 선별해서 2022년 연말부터 사전청약을 통해서 조기 공급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정부가 제시한 공급계획은 아래와 같습니다.

5. 공공분양 및 민간분양 청약제도 개편
(1) 공공분양 주요 청약제도 개편내용
- 공공분양에는 '미혼청년을 위한 특별공급'이 신설될 계획입니다.
- 부모 자산이 일정 수준 초과시 청약을 제한하는 내용을 신설할 계획입니다.
- 4050세대를 위하여 일반형은 일반공급비율을 최대 30%까지 확대할 계획입니다.
- 선택형에도 다자녀와 노부모 등 특별공급을 30% 배정할 계획입니다.
(2) 민간분양 주요 청약제도 개편 내용
- 규제지역 내 중소형 평형에 추첨제를 신설하고, 평형별로 가점제와 추첨제의 비율을 조정할 계획입니다.

끝.
'부동산 트렌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11.09) 서울시 재건축 - 목동아파트단지 지구단위계획 확정 (0) | 2022.11.11 |
---|---|
('22.11.07) 서울시 재건축 - 여의도 시범아파트 신속통합기획안 확정 (0) | 2022.11.11 |
('22.10.27) 무주택자·1주택자 LTV 50%로 완화 등 (0) | 2022.11.01 |
2022년 10월 주요 부동산 통계 (0) | 2022.10.31 |
(22.10.21) 서울시 모아타운 2차 대상지 26곳 발표 (0) | 2022.10.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