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트렌드

(22.12.26) 도시재생 활성화지역 5개소 추가 지정 (망우본동, 신월1동, 독산2동, 화곡중앙시장, 용답상가시장)

by ★☆☆★☆☆★☆☆ 2022. 12. 26.
반응형

서울시는 도시재생 활성화지역 5개소를 추가 지정하였습니다. 새로 지정된 지역은 망우본동 일대(154,000㎡), 신월1동 일대(148,000㎡), 독산2동일대(103,000㎡), 화곡중앙시장일대(156,989㎡), 용답상가시장 일대(149,107㎡) 지역이며, 이로써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은 총 52개 지역으로 늘어났습니다. 

 

서울시는 2022년 12월 23일 제5차 도시재생위원회를 개최하고 '2030 서울특별시 도시재생전략계획 변경(안)'을 확정했다고 밝혔습니다. 서울시는 이로써 2세대 도시재생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전망입니다. 

 

도시재생 활성화지역 신규지정 주요내용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선정지역 (22.12.26, 출처:서울시 보도자료)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선정지역 (22.12.26, 출처:서울시 보도자료)

도시재생 활성화지역 신규지정은 바로 이 계획안에 포함되어 있는데요. 기존 선정된 후보지에서 5개 지역을 도시재생활성화지역으로 신규지정한 것입니다. 선정지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① 망우본동 - 중랑구 망우본동 182-34 일대 (154,000㎡) 

② 신월1동 - 양천구 신월1동 799 일대 (148,000㎡)

③ 독산2동 - 금천구 독산2동 1035 일대 (103,000㎡)

④ 화곡중앙시장 - 강서구 화곡동 370-37 일대 (156,989㎡)

⑤ 용답상가시장 - 성동구 용답동 13-22 일대 (149,107㎡)

 

이밖에, 기존에 지정되었던 활성화지역인 장안평지역의 경우 지역의 유형을 경제기반형에서 중심시가지형으로 변경하였습니다. 

 

도시재생활성화지역 각 지정지역 (22.12.26, 출처:서울시 보도자료)
도시재생활성화지역 각 지정지역 (22.12.26, 출처:서울시 보도자료)

 

(1) 망우본동 활성화지역

4층이하 건축물이 76.2%를 차지하는 대표적인 저층 주거지역이며, 20년 이상 노후건축물 비율이 72.5%에 달하는 지역입니다. 

 

재생방향

1) 소규모 정비사업 등 주거환경 개선

2) 구유지활용 생활 SOC 확충

3) 망우리 역사문화공원과 사업연계

 

(2) 신월1동 활성화지역

김포공항 고도제한으로 재개발 추진이 어려운 지역이며, 모아타운에도 선정되지 않아 주택정비 활성화가 필요한 지역입니다. 

 

재생방향

1) 주택정비 활성화

2) 부족기반시설 확충

 

(3) 독산2동 활성화지역

노후화가 82%에 달하고, 보행편의성이 매우 떨어지는 저층 주거지역입니다. 

 

재생방향

1) 주택정비 통한 정주환경 개선

2) 주민수요대응 생활 SOC 조성

3) 안전한 보행환경 조성

 

(4) 화곡중앙시장 일대 활성화지역

생활 SOC와 전통시장 생활SOC 조성이 지역현안으로 떠오른 지역으로, 안전환 골목환경 조성이 필요한 지역입니다. 

 

재생방향

1) 근린시장 중심 상권 활성화

2) 생활 SOC공급 인프라 개선

3) 소규모주택 정비지원

 

(5) 용답 상가시장 일대 활성화지역

현재 인근지역이 재개발 진행 중으로, 시장의 환경개선과 보행환경 개선이 필요한 지역입니다. 

 

재생방향

1) 특화시장 환경개선

2) 생활환경 개선

 

끝.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