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부동산 이야기57

용도지구 - 방화지구와 규제사항 방화지구는 용도지구의 하나로, 방화지구는 화재의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서 필요한 지역입니다. 방화지구의 경우 건축물의 주요 구조부를 내화구조로 해야 하고, 공작물 등의 주요부 역시 불연재료로 해야 합니다. 방화지구는 시·군 관리계획으로 결정, 고시되고, 재래시장 등 정비가 이루어지지 않고 건축물이 밀집된 지역, 화재발생시 소방이 어려운 지역, 화재 발생 시 폭발·유독가스 등으로 주변지역에 막대한 피해가 예상되는 공장 등의 지역 등이 해당됩니다. 방화지구의 규제사항 건축법에서 규제하고 있는 방화지구의 규제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① 방화지구 안에서는 건축물의 주요구조부와 지붕·외벽을 내화구조로 하여야 함 ② 방화지구 안의 공작물로 간판, 광고탑 중 건축물의 지붕 위에 설치하는 공작물이나 높이 3미터 이상의 .. 2022. 12. 20.
용도지구 - 고도지구와 규제사항 고도지구는 용도지구의 하나로, 건축물 높이의 최고한도를 규제하기 위하여 지정합니다. 서울시의 경우 8개 지구 9,222,269㎡가 지정되어 있으며, 건축물의 높이가 최저 12m에서 최대 65m까지 제한됩니다. 과거에는 최저고도지구와 최고고도지구가 함께 운영되었으나, 2018년 이후로는 최저고도지구 폐지로 최고고도지구만 운영되고 있습니다. 서울시 고도지구 현황 및 규제사항 (높이제한) 서울시에는 총 8개의 고도지구가 지정되어 있습니다. 지도에서 붉은 색으로 표시된 곳이 고도지구입니다. 면적으로는 북한산 주변이 가장 넓고, 그다음이 남산 주변입니다. 고도지구는 최소 12m에서 최대 65m까지 건축물 높이를 제한하고 있습니다. ① 북한산 주변: 3,557,000㎡ / 20m 이하 ② 남산주변: 2,977,16.. 2022. 12. 20.
용도지구 - 경관지구의 종류와 규제사항 (자연경관지구, 시가지경관지구, 특화경관지구) 경관지구는 경관을 보호하고 형성하기 위해 지정하는 용도지구의 한 종류로, 자연경관지구와 시가지경관지구, 특화경관지구(역사문화, 조망가로, 수변특화)가 있으며, 조례에 따라 건폐율 제한, 건축물 종류 제한, 건축물 높이 제한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용도지구는 용도지역에서의 제한을 강화하거나 완화하여, 용도지역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경관 안전 등을 도모하기 위해 도시관리계획으로 결정하는 지역을 의미합니다. 용도지구에는 경관지구 외에, 고도지구, 방화지구, 방재지구, 보호지구, 취락지구, 개발진흥지구, 특정용도제한지구, 복합용도지구 등이 있습니다. 용도지역 / 용도지구 / 용도구역에 대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세요. 용도지역 / 용도지구 / 용도구역의 이해 용도지역, 용도지구, 용두구역은 모두 토지의 이.. 2022. 12. 16.
용도지역 - 녹지지역의 종류와 규제사항 녹지지역은 도시지역 안에서 자연환경이나 농지, 산림에 대한 보호, 보건위생, 보안과 도시의 무질서한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녹지의 보전이 필요한 지역입니다. 녹지지역에는 보전녹지지역, 생산녹지지역, 자연녹지지역이 있습니다. 녹지지역은 용도지역의 하나이며, 도시지역에 속합니다. 용도지역에는 녹지지역 외에도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등이 있으며, 용도지역 / 용도지구 / 용도구역에 대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세요. 용도지역 / 용도지구 / 용도구역의 이해 용도지역, 용도지구, 용두구역은 모두 토지의 이용이나 건축물의 용도, 건폐율, 용적률, 높이 등을 제한하는 공통점이 있으나, 용도지역은 모든 토지에 적용되고, 용도지구는 용도지역을 보완하 dontworry7.tistory.com 1. 녹지지역의 .. 2022. 12.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