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부동산 이야기57

용도지구 - 취락지구와 규제사항 (건폐율, 용적률, 층수제한) 취락지구는 용도지구의 하나로, 용도지역 중 녹지지역·관리지역·농림지역·자연환경보전지역, 용도구역 중 개발제한구역·도시자연공원구역안의 취락을 정비하기 위해 지정하는 기구입니다. 자연취락지구와 집단취락지구가 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취락이란 인간의 생활근거지인 가옥의 집합체를 의미합니다. 즉, 주거지가 모여있는 형태, 크게는 거주 형태 전반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취락지구의 지정기준 취락지구의 지정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취락을 구성하는 주택의 수가 10호 이상 호수밀도 (1만㎡당 주택수)가 10호 이상 (단, 필요한 경우 국토교통부장관과 협의 후 5호 이상으로 할 수 있음) 취락지구의 경계는 도시·군관리계획 경계선, 다른 법률에 따른 지역·지구·구역의 경계선, 도로, 하천, 임야, 지적경계선, 기타.. 2023. 1. 3.
용도지구 - 보호지구의 종류와 규제사항 보호지구는 문화재와 중요시설물 등 문화적·생태적으로 보존가치가 큰 지역의 보호와 보존을 위하여 지정하는 지구입니다. 보호지구로 지정될 경우 건축물이 해당 지구의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제한될 수 있습니다. 용도지구는 용도지역의 제한을 강화하거나 완화하는 지역으로 보호지구는 이 중 하나입니다. 용도지구/용도지역/용도구역에 대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세요. 용도지역 / 용도지구 / 용도구역의 이해 용도지역, 용도지구, 용두구역은 모두 토지의 이용이나 건축물의 용도, 건폐율, 용적률, 높이 등을 제한하는 공통점이 있으나, 용도지역은 모든 토지에 적용되고, 용도지구는 용도지역을 보완하 dontworry7.tistory.com 1. 보호지구의 종류 (1) 역사문화환경보호지구 문화재, 전통사찰 등 역사·문.. 2022. 12. 26.
용도지구 - 방재지구와 규제사항 (방화지구와 방재지구 비교) 방재지구는 각종 자연재해(풍수해, 산사태, 지반붕괴 등)를 예방하기 위해 필요한 곳에 지정하는 용도지구의 하나입니다. 방재지구 지정 시 저해저감 대책 수립, 일부 건축물 건축 제한 등의 규제가 있습니다. 2006년 이전에는 재해 우려지역에 대하여 건축법에 따라 재해관리구역을 지정하여 관리하였으나, 2006년 6월 7일 건축법이 개정됨에 따라 재해관리구역을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 방재지구로 통합 관리하고 있습니다. 시 또는 군 관리계획으로 결정, 고시됩니다. 용도지역, 용도지구, 용도구역에 대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세요. 용도지역 / 용도지구 / 용도구역의 이해 용도지역, 용도지구, 용두구역은 모두 토지의 이용이나 건축물의 용도, 건폐율, 용적률, 높이 등을 제한하는 공통점이 .. 2022. 12. 26.
PIR(Price Income Ratio)과 RIR(Rent Income Ratio) 알아보기 PIR은 소득대비 주택가격의 비율을 나타내며, 한 국가, 지역, 계층별로 주택가격이 소득 대비 얼마인지를 가늠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RIR은 소득대비 임대료의 비율을 나타내며, 월소득에서 임대료로 나가는 비율이 어느 정도인지를 의미합니다. 1. PIR (Price Income Ratio, 소득 대비 주택가격비율) PIR은 말 그대로 소득 대비 주택가격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연평균 소득 대비 주택가격이 어느 정도로 고평가 혹은 저평가되어 있는지를 가늠할 수 있는 지표인데요. 바꿔 말하면, 소득으로 주택을 살 수 있는 기간이 어느 정도 인지를 산정할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PIR 산정방식 PIR(소득대비주택가격) = ① 주택가격 / ② 가구당 연간소득 ①은 특정 개별주택 가격 또는 지역별 평균 주택가.. 2022. 12. 22.
반응형